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7

구글, 디지털 콘텐츠 수수료 15% 부과 구글이 웹툰, 음원 등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수수료를 15% 받겠다고 함 수수료는 네이버와 카카오처럼 웹툰, 웹소설을 서비스하는 사업자에도 모두 적용 이전에 없던 수수료가 새롭게 생기는 것이므로, 플랫폼 사업자들의 선택이 중요해 보임. 몇 가지 생각해보자면, 소비자가 부담하는 가격을 수수료만큼 인상 - 1순위. 가장 쉬운 방법 창작자에게 지급되는 수익금에서 수수료를 차감 - 2순위. 자신들이 가져가던 수익에서 수수료를 차감 - 3순위. 가장 아름다운 그림이지만 사업자들이 선심 쓸 일은 없다고 봄. 네이버웹툰은 지난해 6월부터 연말까지 매출 1323억원을 올렸지만 영업이익은 55억원에 불과하다. 기타비용까지 감안하면 당기순손실 59억원을 기록했다. 언론에서 K-웹툰 거리길래 돈 엄청 버는 줄 알았더니, 비.. 2021. 6. 24.
2021 장영실상 수상 기업들 삼성전자와 엠디뮨이 올해 IR52 장영실상 기술혁신상을 수상 삼성전자 : 스마트폰 100배 줌 기능과 8K 동영상 촬영 기능 등을 구현 엠디뮨 : 원하는 약물을, 원하는 병변 조직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약물 전달 플랫폼을 개발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KOITA)가 올해 IR52장영실상을 수상한 1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IR52장영실상을 수상한 제품의 연 매출액이 수상 전년도에는 평균 33억원이었던 반면, 수상 2년 후에는 96억원으로 증가 2021. 6. 22.
AR, VR, XR,MR...? 하드웨어 문제 해결 필요 미래 시장을 지배할 강력한 제품 중 하나로 가상을 현실처럼 보여주는 하드웨어가 있을 것으로 생각 실제로 글로벌 IT 기업들이 AR 생태계 형성을 위해 준비하고 있음 기업은 구글, 애플, 페이스북, 레노보, 마이크로소프트 등 2012년 구글의 는 사생활 침해 이슈와 함께 실패 사례로 남겨지며, 시장의 관심이 사그러든 바 있음 현재 가장 강력한 하드웨어는 페이스북의 기존 대비 제품이 가볍고 심플한 이용이 가능한 장점 반면, 해상도가 떨어지고, 여전히 무겁고, 장시간 사용이 불가능하며, 어지러움을 유발하고, 킬러앱이 없어 단발성 이용에 그치는 디바이스에 불과함 실제로 잠깐 사용하고 중고로 판매하는 유저가 대다수 유저가 장시간 착용하고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하드웨어의 수준이 발전해야 비로소 시장이 개화할 수 .. 2021. 6. 20.
반응형